10월 27, 2012

구도론 / Composition (B)



Composition의 실전 1


1. ‘답(答)’은 있지만 정해진 ‘식(式, expression‍!)’이 없는 구도

► 보기 좋은 구도의 값을 ‘2’라고 한다면 값 ‘2’를 구하는 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즉, 1+1=2, 1.5+0.5=2, 6÷3=2 등 수 없이 많은 식이 나올 수 있다.

이런 문제로 구도는 쉬울 수도 있고, 어려울 수 도 있다. 하지만 피해야하는 몇 가지 식을 알고 있다면 구도에 쉽게 접근하리라 생각한다.
► 위에서 설명한 여러 구도의 기본형들 중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기본형의 복합 구도로 설정하게 된다.



2. 주의해야 할 구도의 ‘식(式)’


가. 의도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정중앙에 배치하지 않는다.


                                      그림 A                                                                            그림 B

   - 물체를 하나만 표현하는 중심적 구도에서도 대상물을 정 중앙에 배치하지 않는다.
   - 그림자의 면적도 유념하여 좌우중심에서 약간 왼쪽으로 물체를 배치한다.
   - 대상물을 화면의 위, 아래 중심선에서 약간 아래 배치해야 안정감이 생긴다.

                                             그림 A                                                                                    그림 B  
  
   - 특별한 목적 없이는 증명사진처럼(그림 A) 구도를 설정하지 않는다.
   - 그림 B와 같이 얼굴 방향을 화면 안쪽으로 하고 공간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다.
   - 그림 A는 경직된 느낌으로 차갑고 그림 B는 자연스러워 부담이 없다.







 나. 화면의 크기와 대상물의 크기에 균형이 필요하다.


                            그림 A                                                         그림 B                                                              그림 C

   - 캔의 크기와 화지의 크기의 하모니가 중요하다. 만약 위 그림의 화지가 2절지라면 대상물의 크기는 그림 A가 그 중 적당하다.
     하지만 화지가 8절지라면 그림 C가 무난하고, 그림 B는 어느 경우에도 답답한 느낌이 든다.







 다. 정물을 대칭형으로 배치하지 않는다.


                                         그림 A                                                                                그림 B

  - 그림 A처럼 정물을 대칭으로 대치하거나 수평, 수직으로 무게 중심이 같은 배치는 좋지 않다. 그림 B처럼 상하, 좌우, 대각선
    으로 물체가 대칭되지 않도록 한다.







 라. 인물의 얼굴 방향을 화면의 가장자리에 배치하지 않는다.


                                          그림 A                                                                               그림 B

 - 그림 A처럼 인물을 배치 할 경우 답답한 느낌이 든다. 그림 B처럼 시선 방향에 공간을 만들어 답답함을 피하는 것이 좋다.






 마. 지평선이나 수평선을 화면 중심에 두지 않는다.


                                         그림 A                                                                           그림 B

  - 그림 A보다는 그림 B가 안정감이 있어 편안해 보인다.





 바. 물체와 물체 사이 공간의 변화가 필요하다. (정물을 늘어놓지 않는다.)


                                        그림 A                                                                                그림 B
 - 그림 A보다는 그림 B가 정돈된 느낌을 준다.




사. 서로 다른 두 물체의 공간을 확실하게 표현한다. 



  - 위 그림의 ‘가’, ‘나’처럼 두 물체가 완전히 떨어지거나 겹쳐야 된다. 묘하게 접해있는 ‘다’ 같은 경우는 간혹 혼동을 일으키기도 한다.




 3. 부피의 구도와 질량의 구도

                                           그림 A                                                                            그림 B
  - 입시에서는 부피와 질량이 비례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구도를 설정한다.
  - 그림 A에서처럼 좌우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작은 것을 중앙에서 먼 곳에 놨듯이 그림 B에서 작은 것은 화면 외곽에 위치해야
    화면의 균형이 잡혀 보인다.




구로구미술학원 / 전원미술학원 구로 캠퍼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