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고분 (新羅古墳)
현재 논란이 되는 것은 돌무지덧널무덤의 선행묘제로서 돌무지무덤이 존재하였는가 하는 문제이다. 대표적 전파론자인 최병현과 김원룡은 돌무지덧널무덤의 나무곽 구조 위에 별도의 목조시설이 있는 것은 시베리아에서 유행한 묘제와 일치하는 것으로 돌무지무덤이 선행되지 않았다고 본다. 반면, 일제강점기 때 우매하라[梅原末治]의 낙랑 나무덧널[木槨]과 대구 대봉동 고인돌돌무지의 결합설 이래, 북한의 박진욱이 고구려의 돌무지무덤[積石墓]과 나무관무덤[木棺墓]의 결합형태로, 강인구가 초기의 고구려계 돌무지무덤에 뒤에 다시 봉토(封土)를 부가하였다고 보았다. 사실, 돌무지덧널무덤은 경주지역에 한정된 묘제로 당시 영남지방에서는 구덩식돌덧널무덤, 굴식돌덧널무덤, 그리고 독무덤 등이 나타난다. 그러나 최근 울산지역 중산리유적의 발굴조사 결과 나무덧널무덤에서 돌무지덧널무덤으로의 영향을 받아 성립했다는 자체발생설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대체로 경주지역에서의 무덤축조는 언덕 위에서 평지로, 소형무덤에서 대형무덤으로 변하면서, 한편으로는 나무덧널을 보존 연장하고, 한편으로는 봉토의 거대화를 위해 고인돌과 같은 돌무지 전통이 새로 채용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경주의 돌무지덧널무덤은 귀족층의 묘제로 보이며, 관의 위치에 따라 지하식·지상식·반지하식 등으로 나뉘는데, 대부분 지하식이다. 이는 지하에 광을 파고 상자형 나무관을 짠 다음, 냇돌로 둥글게 쌓고 다시 봉토를 덮고 둘레돌[護石]을 돌린 것으로 추가장(追加葬)이 되지 않는다. 초기에는 주곽(主槨) 외에 부곽(副槨)이 있었으나, 부곽이 사라지고 유물은 주곽 안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돌무지덧널무덤에서는 다곽묘(多槨墓)와 단곽묘(單槨墓)가 있는데, 연구 초기에는 이것이 시기적으로 변하는 것으로 보았으나 근래에는 계급 차이의 반영으로 보고 있다.
대표적 돌무지덧널무덤으로는 황남동 109호분과 천마총·호우총 등이 있다. 돌무지덧널무덤 이후에 등장한 묘제는 굴식돌방무덤으로, 평면이 장방형이면서 평천정(平天井)을 한 것과, 방형널방에 궁륭식 천정을 가진 것으로 나뉜다. 관대에는 대개 머리베게[頭枕]와 족좌(足座)가 있다. 출현시기는 경주 보문리 부부총이 돌무지덧널무덤과 굴식돌방무덤이 쌍분을 이루므로 가장 고식으로 보이며, 그 토기의 양상으로 6세기 중기로 편년된다. 평면이 대체로 방형이고 ‘ㄱ’자형의 널길[羨道]이 있는 이러한 굴식돌방무덤은 김해·고령·합천· 현풍·인산·경산·경주 등에서 발견된다. 한편, 순흥 읍내리에서는 고분벽화가 나와서 신라· 가야와는 이질적인 고구려계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며, 쌍상총(雙床塚)에서는 방형널방의 남벽 중앙에 ‘모’자형 널길이 나 있다.
천마총 (天馬塚)
경주 황남동 고분군 일대를 정비, 정화하여 대릉원이라 이름지은 고분공원 안 서북쪽에 위치한 고분으로 원래 경주 155호분 이라고 불려왔던 밑지름 47m, 높이 12.7m의 원형분이다. 고분은 지표에 큰 냇돌을 고르게 깔아 목곽 바닥으로 삼고 거기에 동서 6.6m, 남북 4.2m, 높이 2.1m로 추정되는 목곽을 설치하였다. 목곽안에는 중앙에서 서쪽으로 약간 치우쳐서 길이2.2m, 너비 80cm의 목관을 동서로 길게 놓고, 그 주위에 자갈로 너비 50cm, 높이 40cm의 석단을 쌓았다. 석단 동쪽에 접하여 길이 1.8m, 너비 1.0m, 높이 0.8m의 나무로 짠 부장품수장궤(副葬品收藏櫃)를 남북으로 길게 놓았다.
4세기부터 6세기 전반까지 조형된 대형의 돌무지 덧널무 덤(적석목곽분)은 당시 신라의 힘과 부를 상징하고 있다. 1973년에 발굴되었는데 장신구류 8,766점, 무기류 1,234점, 마구류 504점, 그릇류 226점, 기타 796점으로 모두 1만 15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 중 일부가 국립경주박물관 별관에 보관되어 있는데,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금관(金冠)과 천마도장니(天馬圖障泥)이다.
목곽 주위에는 큰 냇돌을 밑지름 23.6m의 원형으로 목곽과 같은 높이까지 경사지게 쌓아 올리고, 목곽 위에는 약4m 높이로 냇돌을 반구형(半球形)으로 쌓아 그 표면에 진흙을 약 30cm 두께로 바르고 정상부에는 진흙속에 마주장식품(馬具裝飾品)들을 묻었다. 진흙 밖으 로는 산흙을 쌓아 봉토를 만들었고 봉토 기슭에는 냇돌을 높이 1.2m로 쌓아 호석(護石)으로 삼았다. 목관안에서는 피장자(被葬者)가 착용하였던 금관, 금제과대(金製 帶), 요패(腰佩), 팔지, 반지, 목걸이 등의 장신구류와 환두대도(頭大刀)가 발견되었고, 부장품수장궤 뚜껑 위 에서는 금제조익형관식(金製鳥翼形冠飾)과 금제접형관식 (金製蝶形冠飾) 및 금동모(金銅帽), 금동제경갑(金銅製脛甲) 등의 파편이 발견되었다.
수장궤 안에서는 투조금동판식죽심장니(透彫金銅板飾竹心障泥), 백화수피제(白樺樹皮製), 천마도장니, 은제/금동제 안장 등의 마구류가 위쪽에 놓였고, 그 밑에 백화수피제 채화판 (彩畵板)이 있었다. 이들 밑에는 금·은·금동 및 청동으로 된 각종 그릇과 많은 칠기와 유리그릇이 있었고, 맨 밑에는 쇠솥과 각종 토기들이 가득 차 있었다.
석단위에서는 동쪽에서 금모(金帽)·은제과대 등의 장신구류가 발견되었고 그밖의 자리에서는 환두대도를 비롯한 각종 무기류와 철정(鐵鋌)이 나왔으며, 금동제식리(金銅製飾履)는 서북쪽 모서리에서 발견되었다.
금관은 지금까지 발견된 신라시대 금관 가운데 금판(金板)이 가장 두꺼우며 금의 성분도 우수하다. 또한 천마도장니는 천마총 출토품 가운데 세상을 가장 놀라게 한 유품이다. 장니란, 말 양쪽 배에 가리는 가리개로, 흙이나 먼지를 막는 외에 장식물로도 사용되었다. 자작나무 껍데기를 여러 겹으로 겹쳐서 누빈 위에 하늘을 나는 천마를 능숙한 솜씨로 그렸는데, 지금까지 회화 자료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던 고신라의 유일한 미술품이라는 데 큰 뜻이 있다. 이 고분의 명칭을 천마총이라고 한 것도 여기에 연유한 것이다. 이 무덤은 지하나 지상에 덧널(목곽)을 짜놓고 그 속에 널과 껴묻거리를 넣은 후 목곽의 위에 돌을 쌓고 그 위에 봉토를 씌우는 특이한 구조이다. 주 부분이 목곽이기 때문에 세월이 지나면 썩고 위의 적석과 봉토가 내려앉아 내부가 노출되기 어렵다. 구조상 합장이 어려워 단독묘가 되며 후장의 풍습에 따라 많은 유물이 부장됨으로써 오늘날 신라의 유물을 많이 접할 수 있게 된 원인이 되었다.
[천마도] 신라(6세기경), 53×75cm, 국립경주박물관 소장(경북 경주시 황남동 천마총 출토). 국보 제207호. 천마총은 1973년에 황남대총의 발굴을 위해 시험발굴을 하여 알려지게된 5세기 말∼6세기 초의 전형적인 단곽식(單槨式) 돌무지덧널무덤이다. 지상에 높이 2m 정도의 덧널을 짜 놓고 그 안에 널을 안치한 후, 이 덧널 위에 높이 약 4m의 돌무지를 쌓고 그 위에 봉토를 덮은 구조로 무덤 전체의 규모는 바닥밑지름 51.6m, 높이 12.7m의 규모이다. 이 무덤은 원래 155호분이라 불리어 왔는데, 천마총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은 천마도가 그려진 말다래가 출토되었기 때문이다. 이 무덤의 주인공에 대해서는 제21대 소지마립간(479-499)이라는 설과 지증마립간(500-513)이라는 설이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천마도는 신라의 그림 수준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말다래는 말을 탄 사람의 옷자락에 진흙 등이 튀어 묻지 않도록 말의 배 양쪽에 늘어뜨린 네모난 판인데, 자작나무 껍질로 판을 만들어 중앙에 하늘을 나는 말을 그리고 그 가장자리에 당초문(唐草文)을 돌렸다. 말다래는 가로 75cm, 세로 53cm의 크기이다. 안쪽 주공간에 백마를 그린 것인데 말은 네다리 겨드랑이에서 고사리형 날개가 나오고 길게 내민 혀바람에 나부끼는 갈기와 위로 솟은 꼬리 등이 하늘을 나르는 천마임을 말해주고 있다. 이 천마는 사실적인 그림이 아니고 백색 일색이기 때문에 말의 몸에 힘이 나타나 있지는 않으나 실루엣으로서는 잘 묘사되었고 둘레의 인동당초문에도 각부가 정확한 비율로 구성되었으며 고구려 사신총 등에서 보는 완숙한 당초문에 비해 손색이 없다.
[천마총 금과대(天馬塚金죡聖) : 허리장식] 신라(6세기경)의 허리띠 및 허리 패물. 국보 제190호.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과대(44개) 길이 125 cm, 요패(13개) 최장 길이 73.5 cm인 이 허리띠는 목관 안의 피장자의 허리 위치에서 착용된 채 발견되었다. 허리띠 안쪽에 대어 있던 가죽은 이미 모두 삭아 없어져버렸다. 금허리띠는 44개의 과판(띠를 구성하는 판)과 그 양끝은 띠고리와 고리에 끼우는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모두 13조의 허리장식이 달려 있다. 과판은 구름 모양이 뚫은 무늬로 새겨져 있고, 전면에 9개의 작은 구멍이 뚫려 있어 안에 댄 가죽에 못을 박게 되어 있다. 이 과대는 신라 과대로서는 가장 큰 것이다. 허리 장식은 기본적으로 긴 타원형 금판이 사각형의 연결판에 의해 다섯 개가 연결되어지고, 그 끝에 꼬리장식으로 숫돌 모양, 곡옥, 유리옥, 족집개, 구멍 뚫은 병 모양, 고기 모양 등이 달려 있다. 신라의 금관과 함께 신라의 독특한 장신구이며, 중국 남조(南朝) 양(梁)나라 때의 고분에서도 비슷한 과판들이 발견되었으나 요패수식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구로구입시미술학원
댓글 없음:
댓글 쓰기